근래의 소개팅이나 처음 만나는 사람들에게 질문한다.
“MBTI가 어떻게 되세요?” 마치 나이, 성별, 직업을 묻는 것처럼
가볍게 어떤 성향이세요? 혹은 어떤 성격이세요? 와 같은 물음으로 스몰 토크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대화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16가지의 MBTI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
다음에는 각각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밈(Meme)’에 대해 작성할 예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BTI란 무엇인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 MBTI란?
MBTI: 심리유형 검사로 쉽게 말해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에서 개발되었다. 개인이 쉽게 응답할 수 있는 자기 보고를 통해 인식하고 판단할 때 각자 선호하는 경향을 찾고, 이러한 성호경향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여러 경향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인간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도구이다.
| MBTI 유형
MBTI는 총 32가지 유형으로 5개의 지표에서 해당하는 것에서 나뉜다.
| 외향과 내향을 나뉜 ‘E’와 ‘I’
에너지를 어디에서 얻느냐에 따라 외향성(E)과 내향성(I)을 나눌 수 있다.
외향성은 에너지를 외부에서 얻으며 내향성은 내부에서 에너지를 얻는 것으로 알 수 있다.
| 인식 기능에서 나뉜 ‘S’과 ‘N’
인식 기능과 정보 수집의 성향에 따라 감각형(S)과 직관형(N)으로 나눌 수 있다.
감각형은 오감에 따라 정보를 수집하고, 직관형은 의식에 따라 정보를 수집한다.
감각형이 높은 사람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이며 경험으로부터 습득하고 배우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반대되는 직관형은 은유와 비유를 많이 사용한다.
한계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생각의 자유가 높은 편이다.
| 판단 기능에서 나뉜 ‘T’와 ‘F’
의사 결정을 할 때 따라 사고형(T)과 감정형(F)으로 나눌 수 있다.
사고형은 논리에 따라 의사를 결정하고 감정형은 사람들의 관계와 분위기, 기분에 따라 의사결정을 진행한다. 사고형이 높은 사람일수록 비평적이고 의문을 잘 제기하며 침착하고 합리적이다. 감정형이 높은 사람은 관계 지향적이며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존중하려 노력한다.
| 생활 양식에서 비롯된 ‘J’와 ‘P’
삶을 살아가는 틀의 방식에 따라 판단형(J)과 인식형(P)으로 나눌 수 있다.
판단형은 외부에서 대처해 나갈 때 판단적인 태도를 위하고 인식형은 대처할 때 인식적으로 태도를 취한다. 즉, 판단형이 높은 사람은 일관적이어야 하며 구체적인 시간을 정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식형이 높은 사람은 변화를 쉽게 수용하고 의사 결정 과정에서 많은 자료와 아이디어를 고려하기 때문에 즉흥적인 경향이 강하다.
이렇게 총 4가지의 유형에서 서로 다른 성향을 조합해서 나뉜 것이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16가지의 MBTI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밈(Meme)’에 대해 작성할 예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BTI란 무엇인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 몇 가지 유형이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16가지 유형이 있다. 또한 모든 성격 유형에는 좋고 나쁨이 존재하지 않는다.
분석가형(*NT*)에는 INTJ, INTP, ENTJ, ENTP 가 있으며
외교관형(*NF*)에는 INFJ, INFP, ENFJ, ENFP가 있다.
관리자형(*S*J)에는 ISTJ, ISFJ, ESTJ, ESFJ가 있으며
탐험가형(*S*P)에는 ISTP, ISFP, ESTP, ESFP가 있다.
한 가지 유형에도 많은 밈이 존재하고 있으며 다음 포스팅에는 유형 한 가지당 존재하는 밈들과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MBTI를 조사하면서 많은 사람의 MBTI에 대한 생각을 볼 수 있었는데, MBTI가 자신과 정말 일치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고, 검사하고 난 이후에도 ‘이건 나와 맞지 않은 것 같은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평소 대표적인 MBTI 검사라고 생각하는 16 Personalities는 카를 융의 이론을 합쳐서 명칭을 차용한 성격 유형 검사이지, 테스트 자체는 MBTI 테스트가 아니므로 너무 몰입 화하여 자신이 이 성격이라고 단정하지 않았으면 하는 생각이 있고, 인지하고 실제 성격과 비교하며 몰랐던 자신의 모습이라고 가볍게 생각하는 것이 좋다.
'D. 디자인과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2] MBTI 유형별 연애 성향 | 연애 스타일 (0) | 2023.01.15 |
---|
댓글